▣ 기초 출력 1 ▣
아래 코드는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 C언어에서 세미콜론(;)은 문장의 끝을 나타내며, 각각의 문장은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그래야 C 컴파일러에서 문장이 끝났음을 인식하고 다음 문장을 해석하게 된다.
☞ #include <stdio.h> : stdio.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입력 및 출력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nt main() :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main 함수는 정수형(int) 값을 반환하며, 인자를 받지 않는다.
☞ printf("Hello World"); : "Hello World"라는 문자열을 출력한다. printf 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로,
서식 문자열을 사용하여 변수나 값의 출력 형식을 지정할 수도 있다.
☞ return 0; :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낸다. 반환값으로 0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종료됐음을 나타낸다.
2코딩초보2023/03/26 19:38:06ID : cq5gnUZcmq1
▣ 기초 출력 2 ▣
아래 코드는 "Hello World"를 줄을 바꿔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nWorld");
return 0;
}
☞ #include <stdio.h> : stdio.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입력 및 출력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nt main() :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main 함수는 정수형(int) 값을 반환하며, 인자를 받지 않는다.
☞ printf("Hello\nWorld"); : "Hello"와 "World"라는 문자열을 출력한다. 이때, \n은 제어문자로 새로운 줄을 나타낸다.
따라서 "Hello"와 "World"가 각각 다른 줄에 출력된다.
☞ return 0; :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낸다. 반환값으로 0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종료됐음을 나타낸다.
3코딩초보2023/03/26 20:49:07ID : cq5gnUZcmq1
▣ 기초 출력 3 ▣
아래 코드는 특수문자를 출력하는 코드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
printf("\"!@#$%%^&*()\"");
return 0;
}
☞ #include <stdio.h> : stdio.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입력 및 출력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nt main() :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main 함수는 정수형(int) 값을 반환하며, 인자를 받지 않는다.
☞ printf("\"!@#$%%^&*()\""); : " "!@#$%^&*()" "라는 문자열을 출력한다. 큰따옴표와 소괄호 등이 붙어 있는
특수문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 → 형식 지정자 %를, " → " 뒤에 /를, ! → ! 앞에 /를 붙여야 한다.
☞ return 0; :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낸다. 반환값으로 0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종료됐음을 나타낸다.
4코딩초보2023/03/26 20:55:07ID : cq5gnUZcmq1
▣ 기초 출력 4 ▣
아래 코드는 유니코드 특수문자를 출력하는 코드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
printf("\u250C\u252C\u2510\n");
return 0;
}
☞ #include <stdio.h> : stdio.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입력 및 출력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nt main() :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main 함수는 정수형(int) 값을 반환하며, 인자를 받지 않는다.
☞ printf("\u250C\u252C\u2510\n"); : 각각 유니코드 \u250C, \u252C\, u2510을 출력한다. (출력값:┌┬┐)
유니코드는 국제적인 문자 코드 규약으로, 키보드에서 찾을 수 없는 문자도 유니코드에서 입력할 수 있다.
☞ return 0; :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낸다. 반환값으로 0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종료됐음을 나타낸다.
5코딩초보2023/03/26 21:04:29ID : cq5gnUZcmq1
▣ 기초 입출력 1 ▣
아래 코드는 정수형으로 변수를 선언한 뒤 변수에 정수값을 저장하고 저장값을 출력하는 코드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n;
scanf("%d", &n);
printf("%d", n);
return 0;
}
☞ #include <stdio.h> : stdio.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입력 및 출력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nt main() :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main 함수는 정수형(int) 값을 반환하며, 인자를 받지 않는다.
☞ int n; : 정수형 변수 n을 선언한다.
☞ scanf("%d", &n); : 사용자로부터 정수값을 입력받아 변수 n에 저장한다. %d는 정수형 데이터를 입력받는
서식 지정자이다. &n은 변수 n의 주소를 나타내며, 입력받은 값을 해당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 printf("%d", n); : 변수 n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d는 정수형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식 지정자이다.
☞ return 0; :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낸다. 반환값으로 0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종료됐음을 나타낸다.
6코딩초보2023/03/30 18:02:08ID : cq5gnUZcmq1
▣ 기초 입출력 2 ▣
아래 코드는 문자형(char)으로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 변수에 문자를 저장한 후 저장값을 출력하는 코드이다.
#include <stdio.h>
int main()
{
char n;
scanf("%c", &n);
printf("%c", n);
return 0;
}
☞ #include <stdio.h> : stdio.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입력 및 출력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nt main() :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main 함수는 정수형(int) 값을 반환하며, 인자를 받지 않는다.
☞ char n; : 문자열 변수 n을 선언한다.
☞ scanf("%c", &n); :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변수 n에 저장한다. %c는 문자열 데이터를 입력받는
서식 지정자이다. &n은 변수 n의 주소를 나타내며, 입력받은 값을 해당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 printf("%c", n); : 변수 n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c는 문자열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식 지정자이다.
☞ return 0; : 프로그램의 종료를 나타낸다. 반환값으로 0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종료됐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