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건 2레스 참고하고 어쨋든 이게 왜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한 게 되는지 모르겠음 그 3t분의 2l이 등가속도 직선 운동의 평균 속력일 수도 있는데 왜 답지에선 아무런 근거도 없이 속력이 일정하다고 하는거임? 대체 왜? 씨발 누구라도 좋으니까 내일까지 제발 알려줘 이게 그래프가 왜 등속도 운동했다는 근거가 되는건데? 기울기가 등가속도 운동의 평균 속력일 수도 있잖음
2이름없음2023/04/28 01:23:12ID : 3Qrbva9wJTS
.
3이름없음2023/04/28 01:26:57ID : VcK0rhBy2JX
기울기가 일정하니깐 계속 같은 속력(여기선 한 방향이니까 속력=속도)인 거임!
4이름없음2023/04/28 01:31:19ID : 3Qrbva9wJTS
>>3 그럼 등가속도 운동에서는 이렇게 간다는거야? 신기하네
5이름없음2023/04/28 01:44:28ID : VcK0rhBy2JX
>>4 등가속도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운동이니까 곡선으로 나타남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기울기가 점점 커지니까 사진 같은 식으로
여기서 기울기는 접선의 기울기임 전체 기울기를 계산하면 너 말대로 평균 속도가 나오는 거고
접선의 기울기를 계산하면 그 시점에서의 속도가 나오는 거고
6이름없음2023/04/28 14:00:29ID : mk9wE1g0slD
미분을 배우면 쉽게 알 수 있는데 거리함수의 기울기가 곧 속도라서 그럼. 일차함수는 미분하면 상수함수가 되니까 등속도운동인거고, 등가속도 운동은 상수함수를 적분 두번 한거니 이차함수가 되겠지
7이름없음2023/04/29 13:05:38ID : bxBe3Xtg0oI
>>6 ㅇㅋ 근데 도르레에 매달려 있는 문제에서 왜 빗변에 작용하는 힘은 실로 연결 되어있어도 F로 두는거야? 실이 작용하니까 장력으로 둬야하지 않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