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찰이 기소를 독점하는 것은 옳은가?
2. 한국도 내각제를 실시해야 하는가?
3. 지역화폐는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4. AI의 개발에 대하여 법으로 일정한 제약이나 제한을 두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가?
5. 지역소멸 문제는 지자체에서 우선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인가?
6.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서방 측의 책임도 존재하는가?
___________________
중학생 대상으로 이런거 처음 해봐서 잘 모르겠어
요새 뉴스보면서 틈틈히 나오는 주제들 위주로 만들었는데 어때?
대상은 중3이야!
2이름없음2023/02/20 16:14:58ID : O4NuleGnxCr
세상에 중학생이라고? 머리 좋은가봐..세상 물정을 너무 잘아넹..근디 평범한 중학생한텐 너무 어렵다 몇개는 너무 좋은데 아직은 어렵지않을까..토론대회같은 곳에 나오는 논제같은디
3이름없음2023/02/20 16:39:17ID : ja4K3VhBy6p
1,2번은 대학생인 나도 어질어질한데..? ㅋㅋㅋㅋㅋㅋㅋ
4이름없음2023/02/20 16:55:27ID : clhbDvzWi9w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면 너무 어려울듯..
5이름없음2023/02/23 18:53:14ID : i3u01jvxDvD
1. 옳은가 =>타당한가
옳고 그름의 문제라기보단 이익과 손해의 관점에서 접근하는게 논리적 사고에는 더 도움이 될 듯.
옳고 그름에 집중하다보면 자료조사때 극단적 정치사상 위주로 많이 접해질듯.
2. 내각제의 예시 (영국, 일본 등)를 추가하면 좋을듯?
4. 일정한 제약이라는 말은 찬성측에 너무 유리한 조건으로 주어지니, 특정 제약을 명시하는등 구체화가 필요할 듯.
5. 지방소멸 문제는 지자체에서는 중요하게 다뤄야 할 문제가 맞는데, 이게 토론쟁점이 되려면 중앙정부로 주어를 바꾸는게 좋아보임.
6. 서방의(NATO, 미국) 구체적 명시가 중요할 듯.
6이름없음2023/02/24 00:03:30ID : f9ijdzXtfPa
중3한테는 너무 어려운 주제같은뎅.. 중3이면 기소가 어떤 과정으로 이뤄지는지 내각제가 무엇인지 잘 모를것같고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도 대충 전쟁이 일어났다는것만 알지 그 이해관계나 배경 이런건 모를거같음 3, ㄱ4는 괜찮을듯